본문 바로가기
코딩 어쩌구/자료구조와 알고리즘

[python] 연산자와 조건문, 반복문

by annmunju 2021. 9. 21.

연산자 관련 함수

1) divmod(값1, 값2) >> (몫, 나머지) : 나머지와 몫을 출력하는 함수. 튜플 형식으로 저장됨.

2) math.sqrt(값) >> 값의 제곱근

math.pow(값1, 제곱할 값) >> 값1을 제곱할 값만큼 거듭제곱

3) format(숫자, ',') >> 세번째 자리 수마다 ',' 표시된 값 : 결과로 출력된 값은 문자열이 됨.

 

문자열 비교연산

1) ord(문자) : 문자를 아스키코드로 변환

2) chr(아스키코드) : 아스키코드를 문자로 변환

* 문자열 자체는 크기를 비교할 수 없음. 같고 다름만 구별함. 다만 아스키코드는 높낮이를 구별할 수 있음.

 

operateor 모듈

기호를 보다 빠르게 연산할 수 있음.

+operator.add()

- operator.sub()
* operator.mul()
/ operator.truediv()
% operator.mod()
// operator.floordiv()
** operator.pow()

==operator.eq()

!= operator.ne()
> operator.gt()
>= operator.ge()
< operator.lt()
<= operator.le()

andoperator.and_()

or operator.or_()
not operator.not_()

 

조건식 삼항연산자

( 조건이 맞으면 실행 ) if 조건 else ( 조건이 안맞으면 실행 )

 

반복문 

1) for문 : 횟수에 의한 반복

* 한줄쓰기 : [0 for _ in range(5)] >> [0, 0, 0, 0, 0]

2) while문 : 조건에 의한 반복. 특정 조건 달성 전까지는 계속 반복하므로 무한 반복할 가능성이 있음.

(1) 논리형 데이터로 반복 제어 : 특정 조건을 달성하면 True에서 False로 바꾸게 되면 while문을 빠져나오게 됨.

(2) 반복문 제어문

 - continue : 실행 생략하고 다음 반복 실행문으로 넘어가기.

 - else : 반복문 종료 후 실행하기.

 - break : 실행 중단하고 반복문 빠져나오기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