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4-2. selenum 예제 : 네이버 금융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1. 10. 12.
4-1. Oil Price Analysis and Green construction - selenium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1. 10. 12.
[git] 난생 처음 git 사용기(1) 나는 내가 개발자가 될 거라고 생각해본적이 없다. 그래서 주변에 개발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늘 말했던 git에 큰 관심이 없었다. 최근 네카라쿠배 강의를 들으면서 다른 사람들이 서로 내용을 공유하는 모습을 보니, 깃을 최대한 빨리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 그래서 깃에 대한 강의를 수강하며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. 0. 왜 깃을 사용하는가? : 구성 관리를 위해서. 소프트웨어의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통제하는 것. 1. 서버와 클라이언트 : 제공자와 요청자. 2. 로컬과 리모트 : 내가 있는곳과 원격(멀리있는) 컴퓨터 * 깃과 깃허브 : 로컬 버전관리 프로그램과 원격에서 동작하는 소스코드 원격 저장소. 3. 설치 (맥os _ m1칩 사용) 설치하는게 이렇게 어려울줄이야 싶었으나 생각.. 2021. 10. 12.
[python] 예외처리와 텍스트 파일 예외 예외 관련 클래스는 Exception 클래스를 상속한다. 예외처리 예상치 못한 예외가 프로그램 전체 실행에는 영향이 없도록 처리함. 발생할 수 있는 예외 부분에 대해 처리해둠. try ~ except / else / finally # try ~ except try :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. except: 문제 발생된다면 이 부분을 실행. # ~else try :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. except: 문제 발생된다면 이 부분을 실행. else: 문제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 부분을 실행. # finally try :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. except: 문제 발생된다면 이 부분을 실행. else: 문제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 부분을 실행. finally: 예외 발생과 상관 없이 항상 실행 Exc.. 2021. 10. 11.
[python] 모듈과 클래스 모듈 이미 만들어진 기능을 사용자가 가져와서 사용. 필요할 때 마다 사용할 수 있음. ex. 계산 모듈, 난수 모듈, 날짜와 시간 모듈... 1) 내부 모듈 : 파이썬 설치 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 2) 외부 모듈 : 별도 설치 후 사용할 수 있는 모듈 3) 사용자 모듈 : 사용자가 직접 만든 모듈 # 난수 발생 모듈 import random random.randint(시작, 끝) # 시작과 끝-1 사이에 난수 1개 발생 random.sample(range(시작, 끝), n) # 시작과 끝-1 사이에 난수 n개 발생 (겹치는 난수 없음) 1. 모듈 제작과 사용 모듈명.함수(...) : 모듈 안에 속한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. # calculator.py def add(n1, n2): print.. 2021. 10. 11.
[python] 함수 함수 input을 통해 입력되고, 함수를 거쳐서 output을 산출함. 1. 내장함수와 사용함수 - 내장함수 : 기본으로 제공하는 내장함수 ex. print, input, ls.sort() ... - 사용함수 : 사용자가 직접 선언하는 사용자 함수 ex. def 함수이름(매개 변수): ~ 2. 함수 선언과 호출 - 함수 선언 : def 키워드, 함수명, : 들여쓰기를 이용해서 선언함. - 함수 호출 : 함수명과 () 를 통해 호출할 수 있음. - 함수 내에서 또 다른 함수 호출 가능. pass를 이용해서 실행문 생략 할 수도 있음. 3. 인수와 매개변수 def exFunc(name): # name은 매개변수 print(f"이것은 {name}의 예시입니다.") exFunc("홍길동") # "홍길동"은 인수.. 2021. 10. 8.
[Python 통계] chapter 14 군집분석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1. 10. 5.
자료구조 문제풀이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1. 10. 5.
[python] 자료구조 : 튜플과 딕셔너리 튜플 아이템 변경이 불가능한 컨테이너 자료형. (1,2,3) ... 튜플에도 또 다른 컨테이너 자료형 데이터 저장할 수 있다. 1) 튜플 아이템 조회 : 인덱스로 조회. in 과 not in으로 아이템 존재 유무 확인. 2) 튜플 길이 : len() 3) 반복문 조회 : 리스트와 동일 튜플 조작 1) 튜플 결합 : '+' 연산만 가능.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리스트처럼 extend 형식은 불가능. 두 튜플을 이은 새로운 변수만 생성 가능. 2) 튜플 슬라이싱 : 리스트와 동일. 다만 변경은 불가능함. 3) 아이템 정렬 : 수정 불가능하기 때문에 리스트로 변환 후 정렬할 수 있음. list( ) -> sort( ) -> tuple( ) sorted( ) : 튜플을 리스트로 변환시킨 후 정렬시키는 함수. .. 2021. 10. 5.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