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[python] 최댓값, 최솟값 알고리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1. 11. 6.
[python] 정렬 알고리즘 1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1. 11. 6.
[python] 순위 알고리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1. 11. 5.
[python] 검색 알고리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1. 11. 5.
[SQL] 데이터 조작 언어(DML) 기본 INSERT 삽입 INSERT INTO tablename (column1, column2, ...) VALUES (value1, value2, ...) # 모든 컬럼 값을 추가하는 경우, 컬럼 이름을 지정하지 않아도 됨. 다만 순서대로 입력. INSERT INTO tablename VALUES (value1, value2, ...) SELECT ~ FROM 조회 SELECT columns1, columns2, ... FROM tablename; # 테이블 전체 내용 조회 SELECT * FROM tablename; WHERE 특정 조건 추가해서 조회 / 수정 / 삭제 (조건 사용시 비교,논리 연산자 사용 가능) SELECT ... FROM tablename WHERE condition; UPDATE 수정.. 2021. 11. 5.
[SQL] MySQL 사용해보기 MySQL : 경로를 통해 접속 (with macOS) cd /usr/local/mysql/bin ./mysql -u root -p Enter password: * 환경변수 설정 후 경로 접속 : mysql -u root -p 만 입력하면 접속 완료! root라는 유저로 password 입력해서 접속할거야~ 워크벤치 접속 데이터 베이스 - 데이터베이스란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해 통합,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체 - DBMS란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주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서로간에 관계가 있는 데이터 테이블을 모아둔 데이터 저장공간 - SQL이란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정의, 조작,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.. 2021. 10. 29.
[이것이 코딩테스트다] 8. 기타 그래프 이론 1. 서로소 집합 : 공통 원소가 없는 두 집합. 2.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 - 서로소 부분 집합들로 나누어진 원소들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자료구조 - 합집합 Union : 두 개의 원소가 포함된 집합을 하나의 집합으로 합치는 연산 - 찾기 Find : 특정한 원소가 속한 집합이 어떤 집합인지 알려주는 연산 - 여러 개의 합치기 연산이 주어졌을 때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의 동작 과정 1) 합집합 연산 확인해 서로 연결된 두 노드 A, B를 확인하기 (1) A와 B의 루트 노드 A', B'를 각각 찾기 (2) A'를 B'의 부모노드로 설정한다. 2) 모든 합집합 연산을 처리할 때 까지 1번의 과정을 반복 - 기본적인 형태의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에서는 루트 노드에 즉시 접근할 수 없음. - 루트 노드를 찾.. 2021. 10. 27.
[이론] 기초 : 모집단과 표본 chapter 10. 통계표본사용하기 1. 통계적 모집단 population : 측정, 학습, 분석하려는 전체를 의미 2. 통계적 표본 sample : 전체 검사를 하는 대신 표본 샘플 검사를 할 수 있음. 모집단에 선택된 일부. 표본은 모집단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함. 모집단의 표본에 대해 학습하고 조사하는 것을 표본조사라고 함. 3. 표본이 작동하는 방식 : 좋은 표본은 모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을 고르는 것. 표본이 잘못되는 경우는 비슷한 것만 추출한 경우, 치우쳐 있는 경우... = 검증 주제를 명확하게 하면 목표 모집단이 정해짐 > 표본 단위를 정의 > 표본의 편향 bias을 조심 4. 표본 고르는 방식 단순 무작위 추출 : 선택될 가능성이 모두 같은 상태에서 임의로 고르기. .. 2021. 10. 26.
[이론] 기초 : 중심 경향과 분포 Chapter 01 정보의 시각화 1. PIE Chart 차이가 없으면 시각적 효과가 떨어짐. 최대값 100%로 이상인 경우 시각적으로 넓이가 맞지 않음. 2. Bar Chart 막대가 하나의 범주. 도수를 나타냄(혹은 퍼센트 값) 수직/수평 막대 그래프. 3. 히스토그램 구간별 도수 값을 시각화 바 사이가 벌어져있지 않고 붙어있는 것으로 보임.(범위니까!) - 하지만 진짜 붙어있진 않지.. 구간이 일정치 않을 수 있지만, 막대 면적의 합은 전체 도수의 합과 같아야 함. 막대의 높이는 단위 막대 길이당 도수의 값. 높이 = 도수/막대길이(가로) 누적 도수를 그래프로 그릴 수 있음. Chapter 02. 데이터의 중심 경향 1. 평균 : Sum (시그마, 서메이션) X / n (뮤 μ 라고도 함) 2. 중.. 2021. 10. 19.
728x90